경제,금융,외환,부동산,재테크 169

비은행권 NH선물서도 7조원대 ‘수상한 외화송금’ 적발

비은행권 NH선물서도 7조원대 ‘수상한 외화송금’ 적발 김도형 기자 금감원 “김치 프리미엄 거래 의심” 증빙 필요없는 ‘투자금회수’로 송금 다른 선물-증권사도 유사거래 조사 금융감독원. News1 DB10조 원 규모의 이상 외화 송금이 발견된 은행들에 이어 NH선물에서도 7조 원이 넘는 이상 외화 송금 사례가 적발됐다. 금융당국은 다른 선물사나 증권사에서도 비슷한 거래가 있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9일 NH선물에서 거액의 이상 외화 송금 거래가 발생한 정황을 파악하고 지난달 19일부터 현장 검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NH선물에서 2019년 8월부터 올 7월에 걸쳐 발생한 이상 외화 송금 규모는 50억4000만 달러(약 7조2000억 원)에 이른다. 금감원은 검사 과정에서 외국인 투자법인의 이..

수상한 외환거래 '17조원' … 금감원, NH선물도 검사 착수

수상한 외환거래 '17조원' … 금감원, NH선물도 검사 착수 김정현 기자 비은행권에서도 7조원대 의심 거래 포착 '김치 프리미엄'에 '역프리미엄'까지 활용 "다른 선물사·증권사도 추가로 살펴볼 것" 게티이미지뱅크 금융감독원이 NH선물에서 7조 원대 이상 외환거래 정황을 포착하고 현장검사에 착수했다. 은행권에 이어 비은행권에서도 가상자산의 국내외 시세 차익을 노린 이른바 '김치 프리미엄' 의심 거래가 발견된 것이다. 이상 외환거래가 추가로 발견되면서 전체 금융권 이상 외환거래 규모는 17조 원을 넘어섰다. 금감원은 최근 NH선물에서 대규모 이상 외화 송금 거래가 발생한 정황을 인지하고 지난달 19일부터 현장 검사에 착수했다고 8일 밝혔다. 금감원은 8월부터 시작된 은행권 일제검사 과정에서 NH선물의 이상..

부산 ‘아파트 매수 심리’ 얼었다

부산 ‘아파트 매수 심리’ 얼었다 송지연 기자 10월 첫주 매매 수급지수 85.6 지난달 조정대상지역 해제 불구 공급, 수요 비해 여전히 우위 매물 늘어도 거래량 ‘역대 최저’ 사진은 부산 연제구와 동래구 일대 아파트와 고층빌딩 모습. 부산일보DB 부산 전역이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됐지만, 아파트 매수 심리는 여전히 꽁꽁 얼어붙어 있다. 반면 조정대상지역 해제 효과를 기대하는 매물은 늘고 있다. 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0월 첫째 주(3일 기준) 부산지역 아파트 매매 수급지수는 85.6을 기록해 전주(85.8)보다 더 하락했다. 수급지수가 100이상이면 매수 수요가 공급보다 우위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부산의 아파트 매매 수급지수는 지난해 11월 셋째 주 102.0을 기록한 이후 100아래로 떨어져..

"집 안 팔려 이사 못 가".. 정부, 연착륙 대책 만지작

"집 안 팔려 이사 못 가".. 정부, 연착륙 대책 만지작 김동욱 원희룡 "경착륙 막겠다" 추가 대책 예고 건설업계도 정부에 선제 대책 요구 야당 의원도 "규제지역 과감히 해제해야" 7일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숲. 뉴시스 최근 극심한 주택 거래 침체로 여러 부작용이 잇따르자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시장 경착륙을 막겠다"며 추가 대책을 예고했다. 시장에선 미분양·미입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 대책이 곧 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미입주·미분양 속출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토교통위원회의 국토교통부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스1 원 장관은 6일 국토부 첫 국정감사에서 "(주택시장이) 급격하고 난폭한, 강제적인 조정 과정이 되..

대북송금 의심 금액 갈수록 눈덩이 처럼 커지고 있다.

대북송금 의심 금액 갈수록 눈덩이 처럼 커지고 있다. 문재인정권의 이적행위 조사하고, 정권전체를 반역 이적 정권으로 규정조치해야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 권오현페북 수상한 해외송금 액수가 최초 4~5조 라더니 자꾸 늘어 나서, 어제부로 총 17조가 넘는 걸로 드러났다. 그것도 비 금융권인 농협에서만 7조원 빠져 나갔으니 예삿 일이 아니다. 대부분 가상화폐 차익거래의 형태로 빠져 나갔는데 문제의 핵심은, 문 정권 당국은 왜 이걸 모르는 척 눈 감고 있었느냐 이다. 그것도 가장 돈 세탁하기 좋고, 북한 공작원 들이득실거리는 중국향 밀반출이 대다수라는 점이 더욱 수상쩍다. 북한이 무슨돈으로 그렇게 미사일을 펑펑 쏘아 대는지?부터 시작해서 급증하는 마약 밀매, 쌍방울처럼 조폭출신 기업회장이 갑자기 많이 등장하고 있..

정부 순대외채무 5년만에 2배 늘어

정부 순대외채무 5년만에 2배 늘어 김은정 기자 외환보유고 196억달러 급감… 금융위기후 가장 큰 감소폭 우리나라 외환 보유액은 지난 9월 한 달 새 196억6000만달러나 줄었다. 월간 감소 폭으로는 금융 위기였던 2008년 10월(274억달러 감소) 이후 가장 컸다. 지난달 원·달러 환율 급등을 방어하려 외환 당국이 대량으로 달러를 시중에 매도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지난달 원/달러 환율 급등을 막기 위해 외환 당국이 달러화를 시중에 풀면서 외환보유액이 한 달 사이 200억달러 가까이 급감했다. 한은이 6일 발표한 외환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천167억7천만달러로, 8월 말보다 196억6천만달러나 줄었다. 사진은 7일 서울 중구 을지로 하나은행 본점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들이 ..

“공시가, 실거래가보다 높아질수도”…2년만에 인정한 국토부

“공시가, 실거래가보다 높아질수도”…2년만에 인정한 국토부 정순우 기자 ‘공시가 현실화’ 정책 부작용 인정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와 주택가 모습. /뉴스1 문재인 정부에서 추진을 시작했던 ‘공시가격 현실화’ 정책의 부작용 가능성을 국토교통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집값 하락이 지속되면 공시가격이 시세를 넘어서는 역전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게 요지다. 6일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이 국토교통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부의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으로 인해 공시가격과 시세 간 역전현상, 구간별 현실화율 차등 적용에 따른 형평성 침해 등의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2020년 11월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을 발표하고,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등의 과세 기준이 되는 공시가격(당..

[단독] ‘건보 5765조 적자’ 경고 숨긴채, 文케어 밀어붙였다

[단독] ‘건보 5765조 적자’ 경고 숨긴채, 文케어 밀어붙였다 건보공단, 재정전망 보고서 냈지만… 현재 건강보험료율 수준(법정 상한 최대 8%)에 변화가 없을 경우 2060년에는 건보 누적 적자가 5765조원에 달할 것이란 정부 내부 전망이 4일 공개됐다. 지난 정부 때인 2020년 이런 전망을 하고도 외부로 공개하지 않은 채, 건보 재정에 부담을 더하는 ‘문재인 케어’를 계속 이어가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종성(국민의힘) 의원이 이날 공개한 ‘2020~2060 건강보험 장기재정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에 15조원 흑자인 건보 누적 수지(수입-지출)는 2029년에 적자로 전환돼 2030년 31조원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어 2040년 678조원, 2050년 2..

[영상] 한동훈 FBI 공조! 최초로 은행관계자 9조 외환송금 체포! 문정부 대북송금 결정타! 검, 이재명 최측근 이화영 구속영장 청구! 가짜뉴스 탁현민 대망신! 이준석 추가징계 확정!

한동훈 FBI 공조! 최초로 은행관계자 9조 외환송금 체포! 문정부 대북송금 결정타! 검, 이재명 최측근 이화영 구속영장 청구! 가짜뉴스 탁현민 대망신! 이준석 추가징계 확정! https://www.youtube.com/watch?v=mKiYMOscfSI&feature=share&utm_source=EJGixIgBCJiu2KjB4oSJEQ

공포의 '퍼펙트스톰' 엄습.. 한국 경제 '꽁꽁' 얼어붙는다

공포의 '퍼펙트스톰' 엄습.. 한국 경제 '꽁꽁' 얼어붙는다 황인호 삼성전자 반도체 매출 32% 낮춰 석유화학 나프타 '적자의 덫' 허덕 기업들 내년 경영계획 전면 수정 인플레이션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공급망 붕괴가 촉발한 ‘퍼펙트 스톰’에 한국의 실물경제가 얼어붙고 있다. 고환율, 고물가, 고금리가 한꺼번에 몰아치면서 예측불가능한 혼돈 상황이 펼쳐진다는 우려가 크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하는 핵심 산업에는 이미 세계 경제의 침체 충격파가 고스란히 전해지고 있다. 기업들은 투자계획 등을 보류하고 사내 유보금을 쌓으면서 촉각을 곤두세운다. 2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 등 대기업들은 잇따라 최고경영진 회의를 열고 내년 경영계획과 방향을 짜는 데 전력투구하고 있다. 보통 기업들은 이즈음 부서별 내년 업무계획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