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미스테리

텅빈 벌통, 잠자던 벌들이 사라졌다…꿀벌 '집단실종' 미스터리 [e슐랭 토크]

레이찰스 2022. 3. 6. 11:00

텅빈 벌통, 잠자던 벌들이 사라졌다…꿀벌 '집단실종' 미스터리 [e슐랭 토크]

중앙일보
지난 2일 오후 경북 성주군 성주읍 한 양봉농장. 두 줄로 길게 세워진 벌통 사이를 오가던 농장주 박윤백(63)씨의 얼굴이 창백해졌다. 이맘때면 벌통 사이를 걸어다니기 힘들 정도로 극성스럽게 날아다니던 벌들이 자취를 감춰서다.

박씨는 혹시나 하는 마음에 벌통 뚜껑을 하나를 더 열어봤다. 나란히 꽂혀 있는 사양기(飼養器·꿀벌의 먹이 그릇) 사이엔 벌 한 마리 없이 텅 비어 있었다. 원래 사양기는 꿀벌들이 집을 지어놓고 빼곡하게 무리를 이루고 있어야 할 곳이다.

2일 경북 성주군 성주읍 대황1리 한 양봉농장에서 농장주가 빈 벌통 사이를 걷고 있다. 김정석 기자

박씨는 “이 자리에서만 20년 가까이 벌을 키워왔는데 이런 경우는 처음”이라며 “벌통 400군(개) 중 350군 정도가 모두 사라지고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양봉업계에 따르면 한겨울에는 꿀벌들이 벌통 안에서 겨울을 나는데, 1월 중순쯤 날이 풀리면 벌통을 열어 벌을 깨우는 일을 한다. 박씨는 올해도 여느 때처럼 벌통을 열었다가 대부분의 벌통에서 벌이 사라진 것을 발견했다.

사라진 꿀벌…20년 양봉업자도 “이런 일 처음”

차량으로 10분 정도 떨어진 성주군 선남면. 양봉농장을 운영하는 이덕희씨도 벌통 320군 중 130군 정도에서 ‘꿀벌 집단 실종’ 사태가 벌어졌다. 이씨는 “벌을 깨운다고 벌통을 열었는데 벌이 없었다”며 “처음에는 누가 벌을 몽땅 훔쳐간 줄 알았다”고 황당해했다. 그는 “겨우내 벌이 잘 자랄 수 있도록 전기 가온 장치를 설치해 적정온도 유지에도 신경을 썼는데 헛일이 됐다”고 했다.

최근 경남·전남·제주 등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양봉농장의 벌들이 사라지는 일이 잦아지면서 양봉업계가 뒤숭숭하다. 꿀벌들이 집단으로 사라졌는데, 이렇다 할 이유도 찾지 못하고 있어서다.

가장 먼저 꿀벌 집단 실종 사태가 확인된 것은 경남과 전남 등 최남단 지역에서다. 경남도에 따르면 지난 1월 말부터 2월 초까지 약 2주간 18개 시·군 양봉 농가로부터 피해 신고를 받은 결과 321개 농가의 벌통 3만8433개에서 피해가 발생했다. 한국양봉협회 전남지회가 1월 27일 자체 조사한 결과 전남에서도 826농가, 7만1655개의 벌통에서 피해가 발생했다.

2일 경북 성주군 성주읍 대황1리 한 양봉농장에서 농장주가 빈 벌통을 열어 사양기를 꺼내보고 있다. 김정석 기자

“벌써 경북 전체 벌통 중 13% 피해”

한국양봉협회는 농촌진흥청과 농림축산검역본부 등 관련 기관에 원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요청했고 경북도 역시 조사에 나섰다. 지난달 9일부터 21일까지 1차로 피해를 조사한 결과 경북 지역 역시 ‘꿀벌 집단 실종’이 확인됐다. 경북 양봉농가 6129호의 15.2%인 930호에서 피해가 난 것으로 파악됐다. 국내 양봉 농가는 2020년 12월 현재 2만7000여 곳에 달한다.

벌통 기준으로 따지면 경북 전체 58만 군의 12.9%인 7만4582군에서 꿀벌 50% 이상이 사라졌다. 피해 농가가 많은 지역은 성주(100호), 영천(95호), 의성(82호), 포항(81호) 등이며, 대부분의 시·군에서 신고가 접수됐다. 벌통 기준으로는 성주(1만613군), 영천(8021군), 의성(6342군), 영덕(6219군)에서 피해가 컸다. 평균적으로 벌통 1개에는 약 2만 마리의 꿀벌이 산다.

현재까지 꿀벌이 사라진 원인은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이상기후나 병해충 또는 바이러스 피해, 봉군(蜂群·벌 무리) 관리 기술 부족, 약제 과다 사용 등 다양한 원인을 놓고 분석이 이뤄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따뜻해진 기후 탓에 벌들의 면역력이 약해졌다”고 하고, 다른 쪽에서는 “벌통 밖으로 나간 꿀벌이 다시 돌아올 수 없게 만드는 꿀벌응애(기생충)가 기승을 부려 그렇다”는 말도 나온다.

2일 경북 성주군 성주읍 대황1리 한 양봉농장에서 농장주가 빈 벌통을 열어 확인하고 있다. 김정석 기자

경북도 축산정책과는 1차 피해 조사 결과를 토대로 가장 피해가 큰 성주군과 양봉농장이 가장 많은 상주시 등을 비롯해 도내 시·군별로 양봉농장 2~3곳을 방문해 원인 조사를 하고 있다.

꿀벌 실종…참외 등 농사 직격탄 불 보듯

꿀벌 개체수 감소는 직접적으로 벌꿀 채취량 감소로 이어져 벌꿀 유통업계에 타격을 준다. 더 큰 문제는 꿀벌이 줄어들면 주변 농작물과 식물 생장에 큰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꿀벌은 식물의 꽃가루받이(수분·受粉)를 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참외 주산지인 경북 성주는 꿀벌이 급격하게 줄어들자 당장 올해 참외 농사 피해를 걱정하고 있다.

한국양봉협회 성주군지부 전용운 지부장은 “참외 주산지인 성주에는 약 5만 동 정도의 참외 하우스가 있는데 이 중 4만 동가량이 벌을 이용한 수분을 하고 있다”며 “사람이 일일이 수분을 하기엔 한계가 있어 꿀벌이 농사에 필수적인데 벌이 사라지니 농가에도 비상이 걸린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국의 양봉농가들이 예상치 못한 피해를 입은 만큼 이를 회복할 수 있는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중앙포토

꿀벌이 만든 꿀은 ‘자연이 만든 종합영양제’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세계 100대 작물 중 약 71%가 꿀벌을 매개로 수분을 한다. 꿀벌이 사라지면 과일과 채소 등 농작물 생장에 타격을 줄 수밖에 없다.

2015년 하버드 공중보건대 연구팀은 꿀벌이 사라질 경우 과일·채소 등 생산량이 감소하고 이에 따른 식량난과 영양 부족으로 한 해 142만 명 이상이 사망할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2008년 국제 환경 단체 ‘어스워치’는 꿀벌을 지구상에서 ‘대체 불가능한 생물’로 꼽기도 했다.

한국양봉협회에 따르면 꿀벌이 생산한 꿀은 ‘자연이 만든 종합영양제’라고 불린다. 비타민과 단백질, 미네랄 방향성 물질, 아미노산 등 다양한 성분을 품고 있어서다. 빈혈의 예방과 치료, 숙취 해소, 미용 효과, 살균효과 등에도 효능이 있다.

특히 벌꿀은 포도당과 과당에 의한 피로회복 효과가 뛰어나다. 벌꿀이 포도당과 과당을 주성분으로 구성된 단당류(單糖類)여서 체내 장벽에 직접 흡수되는 특성을 갖고 있어서다.

 
 
성주=김정석 기자 kim.jungseok@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