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성인 1인당 소주 53병, 맥주 83병 마셨다"
중앙일보
![](https://blog.kakaocdn.net/dn/b2Agpy/btrMxWcTSAg/Zv9avYYtU40YVomiGpdHt1/img.jpg)
지난 4월 6일 서울 한 마트에서 이용객이 수입 주류를 둘러보는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 소주 반출량이 22억9000만병(360㎖기준), 맥주 반출량 및 수입량은 35억9000만병(500㎖ 기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성인 한 명이 한 해 동안 소주는 평균 52.9병(360㎖ 기준), 맥주는 82.9병을 마신 셈이다.
20일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이 국세청과 관세청으로부터 받은 '최근 5년간 주류품목별 반출량 및 수입량'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국내 제조장에서 반출된 소주량은 82만5848㎘, 맥주는 179만4232㎘(수입분 25만5264㎘ 포함)로 나타났다.
소주·맥주 반출량은 국내 제조장에서 출고된 양으로, 재고 회전이 빠른 주류 특성상 소비량과 유사하다.
최근 5년간 주류품목별 반출량 및 수입량 추이를 살펴보면, 소주는 2017년 94만5860㎘, 2018년 91만7957㎘, 2019년 91만5596㎘, 2020년 87만4537㎘, 지난해 82만5848㎘(52.9병)으로 지속 감소했다.
맥주(수입분 포함)도 2017년 215만3052㎘, 2018년 212만9309㎘, 2019년 207만2488㎘, 2020년, 184만1619㎘, 지난해 179만4232㎘(1인당 82.8병)로 감소했으며, 막걸리도 2017년 40만9407㎘에서 2021년 36만3132㎘로 줄었다.
국군에 납품하는 군납면세 주류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군납 주류에 대한 주세 면제 금액은 2017년 313억원이었지만 지난해 202억원으로 100억원 이상 줄었다.
일부 주류 수입량도 줄었다. 위스키는 2017년 1만5227㎘, 2018년 1만4668㎘, 2019년 1만4146㎘, 2020년 1만1188㎘로 꾸준히 줄었으며 지난해에만 1만1585㎘로 소폭 증가했다.
일본식 사케 품목인 청주 역시 2017년 6525㎘, 2018년 6482㎘ 수준이었다가 2019년 4087㎘, 2020년 3392㎘, 2020년 3113㎘로 5년 사이에 절반 이상 줄어들었다.
반면 와인의 경우 2017년 3만6517㎘에서 2018년 4만611㎘, 2019년 4만4092㎘, 2020년 5만4469㎘, 지난해 7만6881㎘로 지속 증가했다.
김 의원은 "코로나 이전부터 주요 주류 반출 및 수입량이 전반적으로 줄어드는 추세"라면서 "회식 또는 모임 문화, 주류 소비패턴이 바뀌면서 나타나는 현상인 듯하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음주가 200가지 이상 질병의 주요 원인이며 매년 3300만 명이 음주로 사망한다고 추정하고 있는 만큼, 정부는 지속적인 주류 소비 관리 및 예방 정책을 펴야 한다"고 밝혔다.
하수영 기자 ha.suyoung@joongang.co.kr
'먹거리,요리,맛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마호크 대신 돈마호크’...고산지대 돼지만 판다는 그 집 [사장의 맛] (0) | 2022.10.11 |
---|---|
자식에게도 숨기는 양양송이밭…1㎏에 60만원, 고기보다 쫄깃 (0) | 2022.09.22 |
‘송이 풍년’ 올핸 맛 좀 보나…3년 만에 양양서 송이축제도 연다 (0) | 2022.09.17 |
"와 이래 많노"..힌남노 영향에 '멸치 천국' 된 부산 해수욕장 (0) | 2022.09.15 |
값 비싸고 귀한 생선 참치…강원 어민들 하루 20t 버린다, 왜 (0) | 2022.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