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녹으면 인천·부산 사라진다..남극빙하 녹이는 '소용돌이' 찾았다
극지연구소 2019년부터 '난센 빙붕' 연구지구온난화로 바닷물 표면의 '열' 더욱 올라가직경 10km 소용돌이가 열을 빙붕 아래로 전달
한국을 포함한 국제 공동연구팀이 남극 빙붕이 녹는 원인을 밝혀냈다. 빙붕은 200~900m 두께의 얼음덩어리로, 거대한 빙하가 바다에 흘러내리지 않도록 막아주는 일종의 '방어막'이다. 그러나 지구온난화로 따뜻해진 바닷물이 직경 10㎞의 소용돌이로 인해 빙붕 아래로 전달되면서 빙하의 균열이 가속화됐다.
6일 극지연구소(극지연)에 따르면, 이원상 빙하환경연구본부장 연구팀과 국제 공동연구팀은 최근 국제학술지 '커뮤니케이션스 지구와 환경'에 이 같은 연구 논문을 게재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 컬럼비아대, 뉴질랜드 오클랜드대, 경북대 등이 남극 현장 탐방을 통해 진행됐다.
그동안 지구온난화로 따뜻해진 바다가 남극의 얼음을 녹인다는 사실은 이론적으로 알려져 있었다. 남극 빙하가 전부 녹으면 지구의 해수면은 약 58m 상승하며 인천·부산 등 해안도시가 물에 잠길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그러나 남극 빙하의 균열을 막는 빙붕이 녹는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다. 특히 바다 표면의 따뜻한 물이 어떻게 수백m 두께의 빙붕으로 흘러가는지 확인이 어려웠다. 이 때문에 기후변화 대응에 한계가 있던 상황이었다.
극지연구소 연구팀이 남극 빙붕의 균열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한 연구. / 영상=극지연구소 난센 빙붕 탐사에 투입된 무인 수중 글라이더. / 사진=극지연구소
극지연 연구팀은 2019년부터 남극 빙붕이 녹는 원인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그때부터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로 난센 빙붕에 접근했고, 무인 수중 글라이더를 활용해 사람의 눈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바닷속을 관측했다. 수중 글라이더는 바닷속 넓은 지역을 돌아다니면서 수온, 염도, 산소포화도 등의 정보를 수집했다.
연구 결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직경 10㎞의 소용돌이가 따뜻한 바닷물 표면의 열을 빙붕 아래로 전달했다. 이 소용돌이는 차가운 중층수를 위로 끌어올리는 동시에 표층의 따뜻한 바닷물을 아래로 끌어내려 빙붕이 녹는 속도를 가속화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소용돌이가 발견되는 지역에선 빙하가 기존의 예상보다 더 빨리 녹을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며 "향후 소용돌이의 존재를 파악함으로써 빙하가 녹는 속도를 보다 더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서남극 스웨이트(Thwaites) 빙하에서도 이러한 소용돌이가 작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2023년 말부터 현장탐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스웨이트는 빙하 하부가 해수면보다 낮은 곳에 있어 남극에서도 기후변화에 가장 취약한 지역이다. 이 빙하가 녹을 경우 지구에 재앙을 가져온다는 의미에서 '종말의 날 빙하'(Doomsday Glacier)로도 불린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관측한 스웨이츠 빙하 균열. / 사진=미국항공우주국(NASA)김인한 기자 science.inhan@mt.co.kr
'온난화,화산,지진,재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대원 태우고 침수도로 달렸다…해병대 장갑차로 27명 구조 (0) | 2022.09.07 |
---|---|
마산 19년전과 달랐다… 차수벽·배수펌프장으로 인명피해 ‘0’ (0) | 2022.09.07 |
태풍 ‘힌남노’ 북상…尹대통령, 이번엔 밤샜다 (0) | 2022.09.07 |
물바다 된 포항에 장갑차 떴다…해병대 '고립 주민' 구출 작전 [영상] (0) | 2022.09.06 |
"너무 든든하다"..포항에 뜬 장갑차에 쏟아진 찬사 [영상] (0) | 2022.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