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 통제” 루머 도는 尹회견… 5년전에도 노트북 대신 수첩 썼다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 '대통령에게 듣는다'에서 취재진이 질문하기 위해 손을 들고 있다. /대통령실
대통령실이 윤석열 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장에 기자들의 노트북 반입을 금지한 것을 두고 온라인상에서 ‘언론통제’란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17일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윤 대통령 취임 100일 기념 기자회견 현장 사진이 공유됐다. 사진 속엔 기자들이 노트북 대신 수첩과 펜을 들고 기자회견에 참석한 모습이 담겼다.
한 네티즌은 “정말 이상하다. 이 많은 기자들 중 노트북을 가지고 있는 기자가 한 명도 없고 다 필기 중”이라며 “노트북 압수 당했나?”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또 다른 네티즌들도 “아날로그 방식으로 언론을 통제한다” “문재인 전 대통령 시절이었으면 기자들 기자회견 거부까지 갔을 것” “노트북 금지 선 넘네” 등 비판적인 반응을 보였다.
앞서 대통령실은 전날(16일) 출입기자들에게 보낸 ‘취임 100일 기자회견장 입장 절차 안내’를 통해 노트북 반입 금지 사실을 알렸다. 안내문엔 “정숙한 환경 유지와 기존 관례에 따라서 노트북 반입 및 키보드 사용이 불가하다”며 “다만 펜과 수첩은 휴대 가능”이란 내용이 포함됐다.

2017년 8월1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문재인 전 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 당시 모습. 출입기자들이 노트북 대신 수첩을 들고 있다./연합뉴스
실제로 대통령 기자회견장에 노트북 반입이 금지된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5년 전 청와대 영빈관(국빈 만찬 등 공식행사장으로 사용하던 건물)에서 열린 문재인 전 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 때도 마찬가지였다. 당시 기자들은 노트북 반입이 금지돼 수첩에 회견 내용을 필기했다.
대통령 취재에 제약이 생긴 건 노무현정부 때부터다. 김대중정부까지는 기자들이 청와대 비서진이 일하는 건물에 자유롭게 출입해 취재할 수 있었지만 노무현정부 때 보안이 강화되면서 출입기자들의 청와대 비서동 출입이 전면 금지됐다. 대신 노무현정부는 청와대 관계자가 출입기자 상주 건물인 춘추관을 찾아 브리핑하는 방식으로 취재환경을 바꿨고, 이 관례가 이어져 왔다.
김자아 기자 kimself@chosun.com
'방송,연예,언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공장' 김어준 출연료 삭감된다…TBS 제작비 절감 단행 (0) | 2022.08.26 |
---|---|
[영상] 최근 결혼을 앞둔 김종민가 비밀신부을 공개! 이래교 누구? (0) | 2022.08.23 |
《자연재해에서 본 언론방송과 정치인의 작태》 方山 (0) | 2022.08.12 |
?나훈아, 2018년 평양공연 불참 속내 털어놔, 데뷔 55년 콘서트서 만담꾼처럼 이야기. (0) | 2022.08.04 |
재정 지원 끊길 판 되자… TBS 내부서도 “국민 절반 넘게 우리를 비판” (0) | 2022.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