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레’로 손 닦았네... 식당 사용 물수건에서 세균 13억 마리 득실

부산 동구청 전경. /뉴스1
식당에서 주로 사용하는 물수건에서 기준치 1만 3000배를 초과하는 세균이 검출됐다. 일반 식당에 공급되기 직전의 상태였다.
부산 동구청은 물수건 업체 A사의 제품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세균이 검출돼 식당에 공급되기 직전 물수건 약 20kg에 대해 폐기명령을 내렸다고 29일 밝혔다. 해당 업체는 식당에 물수건을 공급하고, 손님들이 사용한 물수건을 회수해 소독하는 업체다.
동구청은 지난 19일 보건환경연구원과 관내 위생물수건처리업장에 대해 유통·판매되는 위생물수건에 대한 미생물 검사 및 위생관리를 점검했다. 검사 결과 A 업체의 위생 물수건에서 기준(10만 이하/장)보다 1만 3000배를 초과하는 13억 마리의 세균이 검출됐다. 비닐포장까지 마치고 식당에 공급되기 직전 보관중이던 물수건이었다. 다행히 대장균은 없었고, 일반 세균만 검출됐다.
위생용품 관리법에서는 식당 등에서 손을 닦는 용도로 사용하는 위생물수건을 ‘위생용품’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물수건을 소독해 포장·대여하는 위생물수건 처리업체는 식약처 고시인 ‘위생용품의 기준 및 규격’에 근거해 위생처리 등을 해야한다.
식약처 고시에 따르면 물수건은 1장 당 세균이 10만 마리를 넘지 않게 소독해야 한다. 이때 세균은 병원성 세균(대장균 등)을 제외한 일반 세균을 통칭한다. 일반 세균은 인체에 바로 위해를 주지는 않지만, 기준치 이상 나올 경우 병원성 세균에 오염됐을 가능성을 알려주고, 소독이 얼마나 잘 됐는지 측정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보건환경연구원으로부터 검사 결과를 통보 받은 동구청은 물수건 폐기와 함께 업체에 대해 영업정지 5일의 행정처분도 진행할 계획이다.
동구청 관계자는 “구체적인 오염 원인을 확인할 수는 없지만 공정 과정에서 살균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면서 “행정처분 절차와 함께 과징금 부과 등을 위해 고발 조치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5월에는 부산 남구의 한 물수건 처리업체에서 세균 기준치 4000배를 초과하는 물수건이 확인돼 과징금 부과 처분이 내려진 바 있다.
김준호 기자 horang2@chosun.com
'의료,건강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 후 찬물 벌컥벌컥… 건강에 안 좋은 이유 3 (0) | 2022.07.31 |
---|---|
서울 아산병원 제공 ❤ 귀중한 자료입니다.❤ (0) | 2022.07.30 |
코로나 재유행에 폭염, 고혈압 비상... 이러면 혈압 4~8 떨어진다 (0) | 2022.07.28 |
폭염에 찬 음료 ‘원샷’ 했다가 피 토한 中남성… 이유는 (0) | 2022.07.27 |
[영상] 8월부터 건강보험환급금 1인당 평균 “135만원“ 드립니다! 만 65세 이상 꼭 확인하세요!! (0) | 2022.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