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집단면역 언급에… 전문가들 “감염 방치하나” “검토할 때”
[오미크론 비상]
오미크론이 본격적으로 확산하는 진입 국면에서 정부가 느닷없이 ‘집단면역’에 대한 기대를 내비쳤다. 이제 막 오미크론 대량 확산이 시작됐는데 “집단면역이 기대된다”는 식으로 앞질러 말한 것이다. 집단면역은 적어도 전 국민의 70% 이상이 백신 접종을 완료하거나 자연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돼 대량 감염 확산을 막을 수 있는 상황을 말한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25일 언론 인터뷰에서 “일부 해외국에서 오미크론이 정점을 지나 집단면역을 형성한 것이냐”는 질문에 “그런 현상들을 국내에서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우리도 오미크론 대유행 국면이 지나면 집단면역 형성이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청와대는 작년 8월 문재인 대통령이 더 이상 ‘집단면역’이라는 표현을 쓰지 않는 데 대해 “델타 변이가 유행하면서 그런 용어를 쓰지 않는 게 적절한 것 같다”고 했다. 작년 상반기부터 백신 접종률 70~80%를 목표로 ‘집단면역’을 추진하다가, 하반기에 전염력과 치명률이 강한 델타 변이가 출현하자 정부 내에선 이후 집단면역이란 말이 사실상 금기시됐다. 그런데 5개월여 만에 정부 내에서 집단면역 표현이 다시 나온 것이다.
이에 일부에선 ‘정부가 오미크론 대확산을 막기 어렵자 사실상 자연 감염을 유도하는 것이냐’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정부가 26일부터 격리 기간을 단축하고 자가검사키트 사용을 권장한 것도 “이런 대책은 감염 확산을 가속하는 방향”(백경란 대한감염학회 이사장)이어서, 사실은 집단감염을 전제한 정책일 수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 견해는 엇갈린다. “집단면역을 통해 ‘위드 코로나’를 넘어 ‘코로나 프리(free)’로 갈 기회”(마상혁 대한백신학회 부회장)라는 견해가 있는 반면, “설사 오미크론의 중증화율이 낮더라도 감염자가 폭증할 경우 제한된 병상 숫자가 버티지 못할 수 있다”(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의견도 있다. 엄중식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오미크론에 걸리는 게 낫다’는 의견에는 그에 따라오는 희생자들을 감수하겠다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오미크론 확산이 정점에 이른 영국과 미국 등에서도 중증화율은 낮지만 “다수의 중증 환자와 사망자가 발생했다”며 경각심을 늦춰선 안 된다는 경고가 나왔다는 것이다.
앤서니 파우치 미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소장도 최근 세계경제포럼(WEF) 연설에서 “오미크론 확산이 집단면역으로 이어질지는 답하기 어렵다”고 했다. “모든 사람이 바라는, ‘살아있는 바이러스를 이용한 백신 접종’(자연 감염)이 될지는 답하기 어려운 문제”라며 성급한 집단면역론을 경계한 것이다.
'방역,코로나,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포에 질려 응급실 달려가지 마라, 그래야 오미크론 이긴다" (0) | 2022.01.27 |
---|---|
자가진단 음성이라도, 열나면 집에 있어야 (0) | 2022.01.27 |
오후 6시에 이미 확진자 1만 164명… 이틀 연속 1만명대 (0) | 2022.01.26 |
김종인 "위드코로나 중단해야"…윤석열 "문재인 정부, 코로나 대응 실패" (0) | 2021.12.15 |
7000명 확진, 민심 들끓어도…'180석 트라우마' 마음 못놓는 野 (0) | 2021.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