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에 짓는 소형원자로는 핵잠용? NYT, “한국 오랜 꿈 이룰수도”
문정인 전 특보 인용해 트럼프가 핵잠수함의 한국 판매 제안했었다고 보도

원자력연구원이 지난 7월 경북 경주시,감포읍에서 문무대왕과학연구소 건설 관련 설명회를 열고 있다. /뉴시스
경북 경주시 감포읍에 생길 해양용 소형모듈원전(SMR)이 한국 핵잠수함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13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지난 7월 감포에 ‘문무대왕과학연구소’를 착공했다. 앞으로 5년 간 총 3200억원을 투입해 2025년까지 연구소를 완공하고, 2027년까지 선박용 SMR 개발을 위한 70메가와트급 원자로를 만들 예정이다. 이 신문은 또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미국 핵잠수함의 한국 판매를 시사했지만, 이후 미국 정부가 후속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했다. 미 행정부 관료들이 핵 확산을 우려해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제안을 철회시켰을 가능성이 있다.
뉴욕타임스는 “한국은 오랫동안 핵잠수함을 원했다. 새 원자로가 문을 열어줄 수 있다”는 서울발 기사에서 “원자력 전문가들은 이 프로젝트에 한국이 오랫동안 품어온 핵 추진 잠수함 개발의 꿈을 이뤄줄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말한다”고 전했다. 모듈원전 자체는 원자력 추진 쇄빙선이나 컨테이너선에 들어가는 것과 비슷하지만, 핵잠수함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러시아 핵 추진 쇄빙선, 핵잠수함 등에 들어가는 원자로 설계 제작사인 OKBM의 2017년 연간 보고서에도 “한국원자력연구원과 계속해서 일체구조형 원자로 협력을 논의한다”는 대목이 있다고 한다.
뉴욕타임스는 북한이 최근 몇 년 간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시험해 왔고 지난 1월에는 핵 잠수함 설계를 언급한 점을 거론하며, 북한의 핵 잠수함에 대항하기 위해 한국도 핵 잠수함을 원한다고 전했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은 지난 1월 “새로운 핵잠수함 설계연구가 끝나 최종 심사단계에 있다”고 말한 적 있다. 이 신문은 또 “문정인 전 대통령 통일외교안보 특보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한국이 그냥 미국의 핵잠수함을 사면 어떻냐’는 놀라운 제안을 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제안 이후 미국 정부는 어떤 후속 조치도 하지 않았고, 핵확산 우려를 들어 한국이 핵 추진 잠수함에 필요한 농축우라늄 같은 핵연료를 확보하는 것을 지원해 주지도 않았다는 것이다.
워싱턴=김진명 특파원 geumbori@chosun.com
'최강원전,에너지,자원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탈원전 피해 책임 물어야 (0) | 2022.02.09 |
---|---|
[노컷체크]탈원전 때문에 4월 전기요금 인상된다? (0) | 2022.02.02 |
탈원전 5년간, 해외 수주 ‘0′…이집트 원전이 구세주 될까? (0) | 2022.01.31 |
[시론] 새 정부는 ‘脫’탈원전으로 가야 한다 (0) | 2022.01.27 |
"신한울3·4호기 공사재개"…대선주자들 목소리에 기대부푼 울진 (0) | 2021.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