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했더니 아파.. 근육통·관절통 구별법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가만히 있어도 아프다면 관절통, 누르거나 움직였을 때 아프다면 근육통일 가능성이 크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주말에 활동적인 운동을 하고 나면 한 주 내내 무릎, 어깨, 발목 등이 아플 때가 있다. 일시적인 근육통이라면 시간이 지나면서 괜찮아지지만, 관절이 다쳤다면 병원을 방문해 치료해야 한다. 방치했다간 퇴행성 관절염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근육통, 움직이거나 눌렀을 때 아파
근육통은 근육과 연결조직에 과도한 힘이 기해져 조직이 손상이 생겼거나, 젖산 등 노폐물이 근육에 쌓였을 때 나타나는 통증으로, 등·어깨·허벅지처럼 큰 근육에 주로 생긴다. 가만히 뒀을 땐 별로 안 아프고, 근육을 움직이거나 눌렀을 때 통증이 심해진다. 평소 운동을 안 했던 사람일수록 근육통이 잘 생긴다. 관절통보다 낫는 속도도 빠르다. 근육 자체에 큰 부상을 당한 게 아니라면, 운동한 날로부터 2~3일 후면 완화된다. 냉찜질하면 더 빨리 통증을 경감할 수 있다. 통증이 1주일 이상 지속된다면 스트레칭, 온찜질, 온욕 등으로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근육의 긴장을 풀어준다. 그래도 증상이 계속된다면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안전하다.
◇관절통, 가만히 있어도 통증 심해
관절통은 관절에 이상이 생겨 나타나는 통증이다. 이땐 근육통과 달리 가만히 있어도 통증이 심할 수 있다. 관절을 구부렸다 펴는 등 움직이면 소리가 나기도 한다. 인대, 힘줄, 연골 등 관절 부위를 다치면 찜질하거나 휴식을 취한다고 해서 통증이 완화되지 않는다. 오히려 방치하면 증상이 악화한다. 퇴행성관절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가급적 빨리 손상 부위와 원인을 파악한 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게 좋다. 특히 무릎을 접거나 펼 때 아프고, 무릎에 물이 찬 것 같다면 연골 손상, 연골판 파열 등 빠른 치료가 필요한 질환일 수도 있다.
◇운동 후 통증 줄이려면, 스트레칭해야
근육통과 관절통을 예방하려면 운동 전과 후 스트레칭해야 한다. 운동 전에 스트레칭하면 굳어있는 관절, 근육, 인대 등이 풀어져 본 운동을 할 때 근육과 관절에 과도한 무리가 가지 않는다. 운동 전에는 가볍게 달리거나 팔 벌려 뛰는 등 동적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좋다. 운동 후에는 손으로 발끝을 당기거나, 다리를 좌우로 늘리는 정적인 스트레칭을 한다. 근육에서 젖산이 형성되는 것을 줄여 근육통을 예방할 수 있다.
'의료,건강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장실에 꼭 '스마트폰' 들고가는 사람 보세요 (0) | 2022.06.05 |
---|---|
밤마다 '쥐' 나서 잠들기 두려워요… 도대체 무슨 일? (0) | 2022.06.03 |
엉겅퀴 효능과 엉겅퀴효소만드는법 (0) | 2022.05.29 |
엉겅퀴 놀라운 효능과 먹는 법_ (0) | 2022.05.29 |
[영상] 엉겅퀴!약으로먹을때~이것만알면된다(먹는법,법제방법) (0) | 2022.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