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뒤에 있던 김건희…文보다 앞서 걷던 前 영부인과 대조
'조용한 내조' 연장선 해석
'김정숙 학습효과' 관측도

사진=연합뉴스ㆍ국회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 취임과 함께 공식석상에 등장한 김건희 여사의 '반보 뒤 동행'이 문재인 전 대통령보다 '앞서 걸었던' 부인 김정숙 여사의 지난 모습을 소환했다.
윤 대통령의 취임식에 맞춰 10일 첫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낸 김건희 여사는 이날 일정 대부분을 소화하는 동안 윤 대통령보다 앞서서 걷는 일이 없었다.
이날 오전 서울 국립현충원 참배를 위해 윤 대통령이 서초동 자택을 나선 20-30초 후 검정 원피스 차림의 김 여사가 모습을 드러냈으며, 자택 앞 주민들과 인사를 나누는 동안에도 김 여사는 서너 걸음 뒤에서 그 모습을 지켜봤다.
주민이 다가오면 그제서야 두 손을 모아 공손하게 목례했다. 이 모습에 주민들이 "너무 참하다"고 외치자 재차 고개 숙여 인사했다.
현충원 도착해서도 김 여사는 윤 대통령 뒤에 머물렀다. 현충문에 들어서기 전에는 윤 대통령보다 반보 가량 떨어져 서 있었다. 현충탑에 헌화, 분향하고 참배를 마치고 나올 때까지 이 거리를 유지했다.
이후 취임식이 열린 국회에 도착해 경호 차량에서 먼저 내린 김 여사는 윤 대통령이 취임식장에 먼저 발을 올릴 때까지 차량 근처에서 기다렸다.
이처럼 이날 김 여사는 윤 대통령보다 앞서 있는 모습을 극도로 경계했다.
이는 김 여사가 지난 대선 때부터 이어온 '조용한 내조'의 연장선으로 해석된다.
김 여사는 지난해 12월 26일 경력 부풀리기 의혹 관련 대국민 기자회견을 열며 "남편이 대통령이 돼도 아내 역할에만 충실하겠다"고 말했다.
취임식이 진행되는 동안 온라인에선 "김건희 여사가 대통령 앞으로 안 나가려 극도로 조심하고 있다" "의식적으로 뒤에서 걷는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이를 두고 정치권 일각에선 '김정숙 학습효과'가 작용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김정숙 여사는 지난 2019년 9월 라오스 환송식에서 문재인 대통령보다 서너 걸음 앞서 걸으며 손을 흔드는 모습이 포착돼 논란이 됐다. 문 대통령은 한동안 김 여사 뒤에서 걸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또 김 여사가 문 대통령보다 앞서 전용기에 탑승하는 장면도 있었다.
통상 공식 행사에서는 대통령이 앞으로 나오고 영부인을 비롯한 수행단은 그 뒤를 따르는 게 일반적이다. 정치권에선 김정숙 여사가 의전 서열을 무시했다는 비판이 나왔다.
당시 자유한국당은 "영부인이 대통령보다 앞선 의전 서열 1위냐"고 힐난했다. 민경욱 의원은 "(대통령보다) 앞서가며 신이 난 선진 영부인, 뒤처져 난감한 후진 대통령. 차기 대권 주자 인기도 여론조사에 좀 넣어드리라"고 꼬집기도 했다. 이에 청와대는 "환송식에 나온 학생들과 교사가 환영식 때 나온 이들과 같은 걸 본 김 여사가 고생하는 현지 학생들을 빨리 귀가시키려는 배려심에서 서두르다 일어난 일"이라고 해명했다.
백승목 기자(qortmd22@daejonilbo.com)
'정수기여행,품위유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뷰] "김정숙 피라미드 관람, 이집트 요청이라 가야 했다고? 中·日은 안 갔다" (0) | 2022.05.15 |
---|---|
[영상] 김정숙 이상한 행동에 靑 난리났다! 윤석열 이미 눈치챈 듯! 문재인 이제 큰일났다!! (0) | 2022.05.13 |
[영상] 긴급! 김선택 납세자연맹 회장 방금 충격 발언! (0) | 2022.05.01 |
[영상] 김정숙의 끔찍한 비밀 드디어 밝혀졌다 (0) | 2022.04.26 |
정수기 버킷 리스트 (0) | 2022.04.24 |